진정한 치료중심의 비뇨기과

전립선·요로결석·여성요실금수술 전문 클리닉

요실금이란

요실금이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오줌이 새는 배뇨이상으로 사회적 활동 또는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요실금의 발생빈도는 우리나라의 경우 중년기 여성인구의 30% 정도 에서 요실금을 호소하며, 노인층에서의 발생빈도는 더욱 높습니다.

증상에 따른 요실금의 분류
  • 기침, 재채기, 무거운 것을 들 때, 줄넘기 등 심하게 배에 힘이 들어갈 때 요실금이 있다.
  • 앉았다 일어설 때 등 작은 신체적 움직임에도 요실금이 있다.
  • 서 있는 자세에서도 요실금이 있다.
요실금의 종류
복압성요실금

웃거나 재채기, 뜀뛰기 등 복압이 증가하는 행동을 했을 때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새는 이상으로, 심하면 걷거나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소변이 나오게 되며, 이때 방광기능은 정상입니다. 자연분만 또는 여성호르몬 감소 등으로 골반지지 근육층이 약해지면서 요도나 방광경부가 아래로 처지게 되어 복압이 요도로 전달되지 않고 결국 요도 압력이 복압을 이 기지 못하고 소변이 새는 것입니다.

원인으로는 반복적인 임신과 출산으로 골반근육이 늘어나 생길 수 있으며,천식 등 지속적인 기침을 유발하는 경우,자궁적출술등 골반부위 수술, 요도 괄약근 약화,과도한 운동(뜀뛰기 등)도 골반근육에 무리, 체중증가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절박성요실금

갑자기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있고 참을 수 없어 화장실에 가는 도중이나 미쳐 속옷을 내리기도 전에 소변이 흘러 나오는데 이것을 절박성 요실금이라 합니다.

원인은 급성방광염, 신경질환, 당뇨병, 방광출구폐색과 같은 질병이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다른 질병과 동반되지 않고 생기기도 합니다. 절박성 요실금을 일으킬 수 있는 신경질환은 뇌졸중, 척추손상, 파킨슨씨병, 다발성 경화증이 대표적이며 방광과 요도를 지배하는 대뇌, 척수 그리고 말초신경을 침범하는 어떠한 질병도 요실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일출성요실금, 반사성요실금, 심인성요실금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요실금의 치료

요실금의 원인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게 됩니다. 따라서, 치료의 선택에 있어서 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의 구분이 진단 시 매우 중요합니다.

요실금의 치료는 크게 약물이나 골반운동, 전기자극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치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복압성 요실금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수술이지만 요실금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비교적 젊은 여성에게는 골반근육운동이나 전기자극을 이용한바이오피드백 요법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절박성 요실금은 수술보다는 약물투여와 방광훈련이 주된 치료가 됩니다.